Introduction
하나의 프로젝트에는 하나의 상태 파일이 존재한다. 그러면 궁금증을 가지게 된다.
Q. 만약에 개발, 운영 코드를 짠다고 한다면 어떻게 짤까?
A. 공통의 기능이 포함된 root 모듈을 만든 후 운영, 개발 프로젝트를 만든다.
공통의 인프라 리소스가 포함된 모듈 생성할 것이다. 별도의 모듈을 생성하게 된다면 공통 모듈의 상태 관리 문제를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개발, 운영 코드를 하나의 프로젝트에 구현하게 되면 환경에 따라 다르게 실행되는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결국 이를 해결하기 위한 조건문이 코드를 더 복잡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운영, 개발 프로젝트를 분리하는 것도 문제이다. 개발이 완료된 후에는 운영에 옮겨야 하는데 개발자가 일리리 코드를 옮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하게 된다.) Terraform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Workspace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Workspace
Terraform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Workspace을 도입하게 되었다. Workspace는 하나의 프로젝트에 여러개의 상태파일을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간단하게 말해서 Workspace는 상태 파일을 관리하는 그릇이라고 보면 된다.
자세한 명령어는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바랍니다.
Multiple Workspace Backend
상태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 Remote Backend를 사용한다. 공식 홈페이지에 의하면 아래의 서비스만 multiple Backend를 지원해준다.
Example
요구사항
- S3에 Multiple Backend를 설정한다.
- 실수를 줄이기 위해 default을 dev로 설정한다.
- 변수를 활용하여 dev, prd Workspace를 분리한다.
코드
terraform block에는 어느때와 다름없이 S3 Backend를 설정하면 된다.
S3로 Multiple Backend를 설정하게 되면 env:/
하위 폴더에 워크 스페이스에 맞게 상태 파일이 저장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env 파일명을 바꾸고 싶을 것이다. 그럴때 workspace_key_prefix
를 사용한다.
|
|
변수를 활용해 default를 dev Workspace로 지정한다.
|
|
workspace 명을 변수로 지정하여 공통의 모듈에 대입한다.
|
|
변수를 활용해 workspace에 맞는 리소스 이름을 지정했다.
|
|
Count를 사용하여 특정 Workspace에 리소스를 실행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
|
|
Conclusion
다양한 환경을 하나의 상태 파일로 관리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래서 Terraform은 이러한 문제를 위해 환경에 따른 상태 파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Workspace을 도입하게 되었다. 다만 Workspace을 무조건 서로 다른 환경을 분리할때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유사하지만 다른 환경에서 인프라를 운용해야 할 때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