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VM의 메모리 사용 형태
JVM에는 3가지 메모리 사용 형태가 있습니다.
- used: JVM이 사용 중인 메모리 양
- committed: JVM이 시스템에게 요청한 메모리 양
- max : 실행 중인 환경에서 최대로 할당할 수 있는 메모리 양
메모리 용량은 used <= committed <= max를 따르는데, used 메모리 양이 committed, max 메모리보다 크게 된다면 OOM(Out Of Memory)이 발생1하게 됩니다.
그라파나를 확인해보면 3가지의 메모리 형태를 알 수 있습니다.
Committed Memory의 역할
YGwan님의 블로그: JVM Memory의 3가지 메트릭 지표 - Committed Memory란?를 읽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메모리를 할당하고 해제하는데 필요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JVM이 시스템을 통해 미리 메모리를 할당하여 사용 시 가지고 있는 여유 메모리 공간을 활용합니다. 이를 통해 메모리를 즉시 사용할 수 있으며 메모리를 할당하는데 발생하는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게 됩니다.
Advanced echo server jvm 메트릭 특징
이전 글에서 스프링부트 컨테이너의 메모리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jvm에 문제가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관련 지표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처음에 눈여겨 봤던 것은 JVM의 committed 메모리 양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 사진에서는 잘 보이지 않지만 자세히 보면 1MB씩 상승하고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heap과 non-heap 메모리에 대해 알아봅시다.
- Java Heap : Instance와 객체가 저장되는 공간으로 모든 Thread에 의해 공유되는 영역2
- Native Area(non-heap) : OS레벨에서 관리하는 영역으로 JVM 크기에 강제되지 않기 때문에 프로세스가 이용할 수 있는 메모리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시 돌아와 제가 운영하고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해 볼까요.
정말 간단한 EchoController와 프로메테우스 metric 수집을 위한 MetricController가 있습니다.
|
|
웹 애플리케이션이 비교적 단순하기 때문에 Heap 영역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도 JVM Heap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힙 메모리의 사용량은 매우 적게 사용되었고,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습니다.
non-heap 영역을 봐봅시다.
변화폭이 적어서 차이를 모르겠지만 메모리가 사용량이 조금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우선 프로파일링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hudi.blog: 스프링 애플리케이션 배포 직후 발생하는 Latency의 원인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JVM Warm-up를 참고하겠습니다.
JIT 컴파일러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주 실행된다고 판단되는 특정 부분만을 기계어로 컴파일한다. 이 부분을 핫스팟(Hotspot) 이라고 부른다. JIT 컴파일러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분석하고 코드 실행 횟수, 루프 반복 횟수, 메소드 호출 등의 정보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이를 프로파일링이라고 한다.
JIT 컴파일러는 프로파일링 결과를 토대로 핫스팟을 식별한다. 핫스팟이 식별되었다면, JIT 컴파일러는 메소드 단위로 바이트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한다. JIT 컴파일러는 이렇게 번역된 기계어를 코드 캐시(Code Cache) 라는 캐시공간에 저장한다.
JIT는 전체 코드를 컴파일 하는 것이 아닌 자주 실행되는 부분에만 컴파일하며 이에 대한 데이터를 Code Cache에 저장하게 됩니다.
Non Heap과 관련된 지표를 확인해봅시다.
아래의 세 가지 지표가 미세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 Metaspace : JVM이 로드한 메타데이터를 저장
- CodeHeap : JIT 컴파일러 관련 지표
- profiled nmethods
- non-profiled nmethods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봤을때 메모리 낭비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Metaspace는 JVM 크기에 강제되지 않기 때문에 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Metaspace 메모리를 제한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성능 제한은 Metaspace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영역에서의 메모리 사이즈 제한이 필요합니다.
안전하게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각 메모리 영역에 맞는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Java 어플리케이션은 크게 위의 Heap과 Off-Heap 두 공간을 활용하여 동작하는데,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할 때 메모리 몇 GB를 할당해야 하는지 결정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Xmx(Heap 메모리 최대치를 결정하는 Java 옵션) 값만 생각하면 OOME에 빠지기 쉽다. 실제로는 Xmx에 MaxMetaspace값을 더하고, 추가로 프로그램에서 NIO를 사용해 Native Memory를 직접 할당받는 로직을 고려해서 Heap + Native Memory 사용총량으로 할당을 해야 비교적 정확하다. 특히 컨테이너의 경우 계산을 좀 더 정확하게 해야 시스템에서 OOM killed되는 상황을 면할 수 있다.
출처 -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1232761_4627.html
정리
실제로 배포해보면서 컨테이너의 지속적인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하는 것에 의문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자바 컨테이너의 메모리 사용은 JVM이 컨트롤할 수 없는 부분이 많아 추적하기 어렵습니다3.
그래서 자세히 확인할 수 있는 JVM 위주로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non-heap 영역이 미세하게 상승하고 있었고, 이는 정상적인 지표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메모리 낭비가 될 수 있으므로 메모리 사이즈를 제한하여 운영해야 합니다.
Reference
- https://swmobenz.tistory.com/37
- https://hudi.blog/jvm-warm-up/
- https://velog.io/@dongvelop/Spring-Boot-%EC%84%9C%EB%B2%84-%EB%AA%A8%EB%8B%88%ED%84%B0%EB%A7%81-%EB%8C%80%EC%8B%9C%EB%B3%B4%EB%93%9C%EB%B3%84-%EC%84%A4%EB%AA%85-%EB%B0%8F-%EC%9C%A0%EC%9D%98%EC%82%AC%ED%95%AD#codeheap-non-profiled-nmethods-non-heap
-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1232761_4627.html
- https://obv-cloud.com/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