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인터페이스를 br-ex 인터페이스에 옮길때
netplan(/etc/netplan/00- * )을 확인하여 옮긴 인터페이스가 {} 를 가지는지 확인하자!
network:
ethernets:
...
enp3s0: {}
br-ex :
...
만약에 Swift에 Service Unavailable이 나온다면 Swift가 제대로 구성되었는지 확인해보자.
raise UnexpectedResponse(msg, resp)#012
swift.common.internal_client.UnexpectedResponse:
Unexpected response:
503 Service Unavailable\u0000","
log_level":"err","Hostname":"server"
디스크에 파티션을 나누고 xfs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팅 할때 globals.yml에서 지정해준 이름을 무조건 설정해야 합니다. 그래야 swift를 설치할때 자동으로 폴더가 마운팅됩니다.
만약에 이름이 지정되지 않는다면 아래와 같이 sda2,3,4에서 mount가 되지 않습니다.
수동으로 fstab를 수정해도 swift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kolla ansible로 cloud image upload를 시도하면 즉각적으로 저장되지 않고 queued 상태가 됩니다. 이는 이미지 저장 시 문제가 생겼다는 의미입니다.
Internal Server Error가 발생했다는 것은 glance-api에 문제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swift를 찾아보니 glance 관련된 컨테이너가 제대로 생성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그 외에 swift 컨테이너가 생성된 것을 보아 내부적으로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그래서 이미지를 저장하는 공간을 swift에서 file(서버 디렉토리)로 변경하여 이미지가 제대로 설치될 수 있게 변경했습니다.
<hr><p>서버 구축기 — Part 5. OpenStack을 설치하면서 마주한 오류들 was originally published in S0okJu Technology Blog on Medium, where people are continuing the conversation by highlighting and responding to this story.</p>